2023바다미술제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Flickering Shores, 
            Sea Imaginaries)》는 바다와 우리의 관계를 재고하게 하고, 
            해안의 아름다움과 취약성을 동시에 언급하며, 바다와 해양 환경에 
            관여하기 위한 대안적인 틀과 비전을 모색합니다.
        
            바다는 우리의 삶과 자본주의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생존에 필수적인 
            원천일 뿐만 아니라 식량, 의약품, 에너지, 광물, 무역, 여행 등을 위해 이용하는 
            거대 산업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규모 크루즈 관광, 해운, 남획부터 핵실험, 오염, 
            심해 채굴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바다에 해를 끼쳐 해양 
            생태계와 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는 해안에서 바라본 바다를 상품 이동에 쓰이는 
            분절되고 추상적인 표면으로 보는 대신 우리가 이 수역의 일부임을 상기시켜 줍니다. 
            올해 바다미술제는 바다 및 해양 생태와 맺는 새로운 관계를 탐색하고, 저항과 복원을 
            요청하는 차원에서 협력과 공동의 비전, 시너지 창출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
더보기

Artist

작가

조은필

                                            조은필은 블루를 주된 조형 요소로 하여 일상적 소재를 비일상적, 초현실적 공간으로 전환한다. 작가의 블루는 단지 물질적 재료로서의 색만이 아니라, 모든 소재를 ‘청색화’하여 환영 공간이자 하나의 의미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작가의 설치 작업은 현장성에 대한 근원적 실험이자 도전이다. 이런 공간은 관람자뿐 아니라 작가 자신에게도 낯선 순간을 체험하게 한다. 최근에는 시간을 따라 변해가는 식물의 형태에 관심 두고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레지던시에서 작업 중이다. 또한 올해는 한강 프로젝트와 내년에는 이치하라 호반 미술관 전시를 앞두고 있다.                                        
더보기
작가

아틀리에 엔엘

                                            나딘 스테르크와 로니 판 라이스바이크가 설립한 디자인 스튜디오 아틀리에 엔엘은 지구의 풍요로움과 현지 원료의 가치를 중시한다. 두 아티스트는 자연 그대로의 요소들을 일상적인 사물로 재탄생시켜 자연계의 미묘함을 반영한다. 특히 <클레이 앤드 글래스> 프로젝트는 현지에서 조달한 점토와 모래를 도자기와 유리 제작에 사용함으로써 문화유산을 존중하고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장려한다. 아틀리에 엔엘은 지구의 자원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신중한 재료의 구매와 생산을 옹호하여 글로벌 환경 의식을 고취한다. 열정적인 연구를 통해 인류와 자연을 구체적으로 연결하고 소중한 지구에 대한 새로운 관리자 의식을 촉구한다.                                        
더보기
작가

카시아 몰가

                                            카시아 몰가는 예술과 과학의 교차점에 숨어 있는 이야기를 드러내고, 인간을 넘어 지구 위 생명체와 협업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변화하는 자연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성향은 어린 시절에 아버지와 함께 바다 위의 해군 상선에서 지낸 경험에서 시작되었다. 국제적으로 호평을 받은 작품 How To Make An Ocean에서는 눈물을 이용하여 해양 생태계를 만드는 방법을 탐구했다. 더 나아가 How To Become Wholesome에서는 다른 신체 자원으로 생명을 지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                                        
더보기
작가

김덕희

                                            김덕희는 자연과 생명, 사회와 문화, 물질과 에너지, 시간과 공간을 아우르는 ‘삶’과 ‘우주’ 속 세계의 다양한 층위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 작가는 빛과 열, 중력, 언어와 같은 비물질적 매체를 사용하여 물질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작품화한다. 우리는 ‘무엇’이며, ‘어떻게’ 존재하는가에 대해 끊임없이 물음을 던져온 김덕희의 작품은 과학적이고 철학적이며 때로는 시적이고 주술적이다.                                        
더보기
작가

왕덕경

                                            왕덕경은 미세한 것들을 눈여겨보며, 무신경한 것들을 포착한다. 특히 사회에서 주변으로 밀려나 있는 것, 눈에 보이지 않고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들의 이면들을 다양한 재료와 매체를 사용하여 드러내고자 한다. 최근 몇 년간 작가는 ‘여성’의 이야기를 마주하고, 한 개인의 내부와 외부 균열의 틈을 봉합하는 언어의 형태를 고민하며 ‘말 걸기’, ‘담기’를 시도 중이다.                                         
더보기

Artwork

작품

물고기 입맞춤

하이퍼콤프
                                            해양 생태계는 어떻게 우리의 도시 생활 방식과 관습에 연결되어 있을까?

〈물고기 입맞춤〉은 도시 가정과 바다의 가깝지만, 종종 먼 관계를 탐구하는 단편 영상이다. 그리스의 유명한 돔나 사미우 합창단이 부르는 전통적인 섬 노래가 깔린 이 영상은 한 주방 싱크대 위에서 전개된다.

영상은 두 주인공인 한 여성과 성게가 서로에게 나란히 길들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물고기 입맞춤〉은 식사 준비, 전통 가곡, 환경 뉴스와 기후에 대한 우려, 물고기의 머리나 내장으로 점을 치는 물고기점, 생체 조직 검사 등을 언급하며 인간의 공간과 해양 생태계 간의 물리적 관계와 문화적 관련성을 그려낸다. 이 작품은 관광 및 에너지 산업으로 즐거움과 자원, 그리고 영양분 채취를 위한 보물고에서 불모지로 바다를 바꾸어 버린 우리의 문화적 관점을 고찰하고 미래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작품

해양 해양 해양

칼립소36°21
                                            제인 진 카이센, <바다의 이야기>, 2013,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분 15초.
작품 <바다의 이야기>에서 작가 제인 진 카이센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해녀로 생계를 이어가던 제주도의 현무암 해안을 따라 걷고 있다. 그는 물질할 때 사용했던 버려진 물건들과 할아버지가 제주해녀항일독립운동기념사업회장을 역임하며 쓴 <제주해녀항일투쟁실록>을 들고 있다. 책은 1995년 제1회 제주해녀항일투쟁기념식을 계기로 출간되었는데, 이 항일 투쟁은1931~1932년 제주 해녀들이 일본 식민 세력에 대항하는 행진을 시작하며 거세게 일어난 운동으로, 80여 년이 지난 지금 작가가 걷고 있는 바로 그 해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영상에서는 작가의 할아버지가 집필한 책의 첫 페이지에 수록된 악보 <해녀의 노래>가 불려진다. 그 노래는 항일운동의 지도자였던 강관순이 옥살이 중 개사한 가사를 일본 곡조에 얹어 만든 노래로 당시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녀들에게 불려졌던 이 노래는 제주 해녀 문화의 성별 범위, 가혹하고 위험한 직업적 소명, 생존을 위해 바다에 의존하는 해녀의 삶을 증명한다.
책과 잠수 도구를 세심하게 다루는 일은 역사를 보존하고 시간의 격차를 해소하며 세대를 넘어 지식을 전달하려는 시도를 암시하지만, 영상은 작가가 바다에 도달하기 전에 끝난다. 불안정하고 어색한 동작으로 걷고 환경에 맞지 않는 옷과 장화를 신은 모습에서 노래 가사와는 대조적으로 불연속성과 균열이 느껴진다. 최근 수십 년 동안 현대화, 사회 변화, 산업적 양식, 해양 환경 파괴 등으로 해녀의 물질 문화는 급격히 감소했다. 이에 따라 바다와 물질에 대한 지식, 제주의 모계 중심적 우주관, 바다와 연결된 무속적 정신문화가 더 이상 어머니로부터 딸에게 원활하게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질 오브리, <대서양의 해조들>,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1분 43초.
생물학자 유네스 분디르와 함께 촬영한 작가 질 오브리 작품 <대서양의 해조들(Atlantic Ragagar)>는 모로코 대서양 연안의 해조류와 오염에 관한 실험 영화이다. 물이 맑은 시디 부지드 해변에는 수십 종의 해초가 서식하고 있다. 이보다 더 남쪽의 사피에서는 인산염 공장으로 인한 오염으로 해양 생물 다양성이 재해를 입고 있다. 이 영화는 해안 생물에 귀를 기울이고 관객을 생태적 변화의 과정으로 초대하는 시도이다. 오염은 풍경 속에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더라도, 이마네 주바이가 연기하는 주인공의 목소리와 몸짓을 통해 독성의 영향을 표현한다. 그녀가 콧노래를 부르고, 노래하고, 숨을 쉬고, 조용히 조류와 교감하는 동안 새로운 대상 ‘마오우즈’가 순차적으로 등장하는데, 생물의 신체적인 경계를 초월하고 종을 넘나드는 열린 사고가 가능한 수역을 가리킨다. 

칼립소 36°21 & 데리야 아카이낙, <무제>, 2021, 단채널 비디오, 텍스트, 사운드, 9분 4초. 2023바다미술제 지원작.
사운드 작품 <무제>(칼립소 36°21 이 지은 제목)는 해양학자 데리야 아카이낙이 자신이 발견한 과학적 알고리즘 '시스루(Sea-Thru)'를 많은 관객에게 설명하기 위해 만든 작품이다. 데리야는 '객관적'이고 있는 그대로의 과학적 방식으로 '시스루’를 묘사하고 설명하는 대신, 어머니의 죽음, 자신과 바다의 관계,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바다를 위한 큰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데리야는 여성 해양 과학자 인터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된 토론 이후, 2021년 이 작품을 쥐스틴 다캉에게 선물했다. 이들은 모두 직관과 감성으로 자신의 분야에 접근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과학을 실천함으로써 중요한 발견을 하고 바다를 치유하고 돌보는 데 도움을 주었다. 


제인 진 카이센은 1980년에 제주도에서 태어나 현재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거주하는 시각예술가이자 필름메이커이며,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의 미디어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카이센의 작업은 비디오 설치, 내러티브 실험 영화, 사진 설치, 퍼포먼스, 텍스트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광범위한 학제간 연구와 다양한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다년간 진행된 프로젝트와 협업을 통해 초국적 입양, 한국전쟁과 분단, 제주 4.3 사건, 냉전 유산 등의 주제를 다뤄왔다. 또한 자연과 섬이라는 공간, 우주론, 신화의 페미니즘적 재구성, 의식적이고 영적인 관행에 참여하기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표현과 저항, 인식의 수단을 협상하고 중재하여 대안적인 계보와 공동체적 출현의 장소들을 그려낸다. 
카이센은 뉴 칼스버그 재단 아티스트 그랜트(2023년)와 덴마크 예술재단의 3년 작업 지원금(2022년)을 받았다.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김현진이 기획한 <역사는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전시에 남화연, 정은영 작가와 함께 참여하여 영상 설치 작품 <이별의 공동체>(2019)로 한국을 대표해 전시를 선보였다. 쿤스트할 샤를로텐부르크에서 가진 <이별의 공동체> 전시가 덴마크 국제미술평론가협회(AICA)의 ‘2020 올해의 전시’로 선정되었다. 리버풀, 광주, 안렌, 제주 등지에서 열린 비엔날레에 참여했으며, 최근 이미지 센터에서 (2023), 르 비콜로레에서 (2023), 포토그라피스크 센터에서 (2023), 디트로이트 현대미술관에서 (2021) 등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하고 테이트 모던에서  (2023), 하우스 데어 쿨투렌 데어 벨트 (HKW)에서 (2022)를 상영하는 등 작품 상영회를 열었다.
코펜하겐 대학교 예술문화학과에서 예술 연구로 박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학제간 스튜디오 아트로 미술석사 학위를, 덴마크 왕립미술아카데미에서 미술 이론 및 미디어 아트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휘트니 미술관 독립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질 오브리는 베를린에 거주하는 스위스 예술가이자 음악가, 연구자이다. 그의 작품은 소리와 듣기를 구체화된 기술적, 생태학적 실천으로 탐구한다. 그의 설치, 영화, 퍼포먼스, 라디오 연극은 예술 기관, 영화제, 음악 공연장에서 국제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최근 프로젝트로는 도큐멘타14의 의뢰로 로버트 밀리스와 인도 단체 트래블링 아카이브가 함께 작업한 사운드 작품 <축음기 효과>(2017, 카셀과 아테네), 나탈리 음바 비코로와 함께 튠드 시티스 페스티벌 에서 공연한 <검은 안테나>(2018, 고대 메세네), 1960년의 지진에 관하여 아가디르에서 촬영한 필름 에세이 <살람 고질라>(2019, FID 마르세유), 취리히의 OTO 사운드 뮤지엄이 의뢰한 VACUT (Voices Against Corruption and Ugly Trading) 그룹의 사운드 설치 작품 <더 휘슬>(2022) 등이 있다.

데리야 아카이낙은 터키의 엔지니어이자 해양학자로 수중 영상과 비전에 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전문적, 기술적, 과학적인 다이빙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링해에서 남극까지 현장 조사를 수행했다. 아카이낙은 수중 컴퓨터 비전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되는 손실된 색상과 대비의 재구성을 해결하여 시스루 알고리즘을 개발한 공로로 2019 블라바트닉 젊은 과학자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더보기
작품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

로베르티나 세브야닉
                                            로베르티나 세브야닉의 몰입형 사운드 설치 작품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생명체의 관계뿐 아니라 상호 연결된 세계, 생태계 간의 긴장감을 탐색하는 공간을 창조한다.

출품작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수집한 해양생물의 소리와 인간의 노래를 바닷속 소리에 덧붙여 함께 들려준다.

작품은 상호 의존적 관계로, 물로 연결된 지구를 상상하며 인간 세상을 넘어 해양 생태계, 지리, 문화를 파고든다.

학제적이고 시적인 이 작품은 파도 밑 해양 생물을 향한 공감(성)을 불러일으켜 낸다. 〈그들의 노래〉라는 시를 통해 이들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우리의 행동이 바다와 해양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숙고한다. 작가의 작업은 동물과 인간, 이종 간 소통을 예술과 기술의 교류와 학제적 조사를 통해 탐구하며 전 세계 해양과 바다에서 일어나는 심해 소음 공해와 생태계적 결과를 시사한다.

인간과 해양 이야기, 과학과 신화가 함께 물결치는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는 모든 생물과 생명체가 크든 작든,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함께 경험을 공유하고 깊이 연결된다는 세계관을 제시하며 해양 생명체의 회복력을 기리며 이야기한다.

Credits
Artist: Robertina Šebjanič
Text, music, textile, audio: Robertina Šebjanič (SIovenia)
Narrators, voice: Polona Torkar (Slovenia) and Pilljae Kim (Slovenia / South Korea)
Recording of voice and mastering: Rok Kovatch (Slovenia)
Field recordings: KIOST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rchitecture support of the installation: studioentropia                                        
더보기
작품

심해의 명상

윤필남
                                            바다는 다양한 얼굴을 지니고 있다. 때로는 잔잔한 미소로, 때로는 화난 듯 폭풍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오늘날 인간은 바다가 인간에게 주는 다양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해 온 반면, 바다를 후세대에 온전히 물려줄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된다.

출품작 〈심해의 명상〉은 아직 회복될 수 있는 무한한 삶의 터전으로 바다와 해양 생태계, 사람과의 공생관계를 이야기한다. 바다에서 심해는 깊은 내면을 지닌다. 주위는 조용하고 천천히 움직이며, 바쁜 세상의 변화와 풍파에 휘둘리지 않는다. 작품은 오늘날 도시 삶의 번잡하고 바쁜 세파에서 벗어나 조용함과 깊은 사색을 누릴 수 있는 심해의 길을 따라 걷는 듯한 경험을 전한다. 또한 과거 바다와의 관계를 다시 되돌아보는, 심해와의 우리 관계가 착취의 일부분이 되지 않는 희망적인 미래를 그려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작품

온전해지는 방법

카시아 몰가
                                            출품작 〈온전해지는 방법〉은 포괄적 개념으로 눈물, 땀, 소변을 포함한 인체 분비물이 수생 유기체의 안녕에 어떻게 기여할지 고찰한다.

작가의 대표 작품 〈바다가 되는 법〉에서 작가는 작은 해양생태계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인간의 눈물을 모아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출품작은 그 연장선상으로 일련의 질문을 던진다. 해양 생태계를 위한 가장 풍부한 영양분이 되려면 우리는 몸을 어떻게 돌봐야 할까? 인체에서 이런 영양분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어떤 도구가 필요할까? 채취한 성분의 적합성은 어떻게 테스트할까? 이런 과정과, 인체와 해양을 연결 짓는 미학은 무엇일까?

지금까지 지속해 온 작가의 연구는 기록과 실험 도구를 통해 이번 바다미술제에서 전시된다. 작가의 인체에서 추출된 분비물의 화학 구성분 기록과 식단(자원으로 변화하는 과정의 기록), 인체 분비물에서 영양분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했던 도구 스케치 연작(영양분 채취용 도구), 실험 맞춤으로 발명된 기구들이 선보여진다.

무엇보다 이번 출품작은 특별히 제작된 서너 개의 유리병이 설치의 중심이다. 연결된 이 유리병에 담긴 다양한 신체 분비물은 바닷물과 섞여, 선별된 수생 식물이 성장하고 발달하도록 영향을 준다. 작품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생명체의 안녕과 생존이 밀접함을 시사하고, 우리는 분리된 개체가 아닌, 두 자연과 해양을 이루는 부분임을 상기시킨다.

해양 생태계에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해 당신은 어떤 준비를 할 수 있는가?                                        
더보기

물고기 입맞춤

하이퍼콤프ㅣ10분 13초ㅣ드라마
작품 설명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오디오 가이드
포레스트 커리큘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