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바다미술제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Flickering Shores, Sea Imaginaries)》는 바다와 우리의 관계를 재고하게 하고, 해안의 아름다움과 취약성을 동시에 언급하며, 바다와 해양 환경에 관여하기 위한 대안적인 틀과 비전을 모색합니다.
바다는 우리의 삶과 자본주의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며, 생존에 필수적인 원천일 뿐만 아니라 식량, 의약품, 에너지, 광물, 무역, 여행 등을 위해 이용하는 거대 산업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규모 크루즈 관광, 해운, 남획부터 핵실험, 오염, 심해 채굴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바다에 해를 끼쳐 해양 생태계와 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깜빡이는 해안, 상상하는 바다》는 해안에서 바라본 바다를 상품 이동에 쓰이는 분절되고 추상적인 표면으로 보는 대신 우리가 이 수역의 일부임을 상기시켜 줍니다. 올해 바다미술제는 바다 및 해양 생태와 맺는 새로운 관계를 탐색하고, 저항과 복원을 요청하는 차원에서 협력과 공동의 비전, 시너지 창출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스튜디오 1750(김영현, 손진희)은 재료와 장소의 제한 없이 자유로움을 표방하며, 일상에 예술적 상상력을 더하는 프로젝트 그룹이다. 이들의 작품은 주로 현실에서 비롯된 ’혼종문화’와 일상적 오브제의 변성을 주제로 사소한 궁금증부터 알 수 없는 미래까지 질문을 확장한다. 이들은 다양한 문화를 해체, 재구축함과 동시에 일상 사물을 변용, 재구성하여 사물의 의미, 관점, 기능을 전환함으로써 고정된 방식이 아닌 다르게 보기를 제안한다. 현재 다양한 장소에 머물면서 변화에 도전하며 예술의 틀을 넓히는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더보기
김덕희는 자연과 생명, 사회와 문화, 물질과 에너지, 시간과 공간을 아우르는 ‘삶’과 ‘우주’ 속 세계의 다양한 층위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 작가는 빛과 열, 중력, 언어와 같은 비물질적 매체를 사용하여 물질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작품화한다. 우리는 ‘무엇’이며, ‘어떻게’ 존재하는가에 대해 끊임없이 물음을 던져온 김덕희의 작품은 과학적이고 철학적이며 때로는 시적이고 주술적이다.더보기
독일 베를린을 기점으로 활동하는 양자주는 공공장소를 심오하게 변주하는 개념에 흥미로운 팔레트의 혼합으로, 우리가 사는 공간과 우리 자신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인간의 본래 감각이 도시의 빠른 변화 속에서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 고찰한다. 그 도시를 구성하는 물질에서부터 인간과 더불어 서식하는 자연으로 이르기까지 작가는 회화, 설치를 비롯해 라이브 페인팅, 공공 예술 등 다양한 장르를 실험적으로 넘나들며 작업 영역을 확장해 나간다.더보기
나딘 스테르크와 로니 판 라이스바이크가 설립한 디자인 스튜디오 아틀리에 엔엘은 지구의 풍요로움과 현지 원료의 가치를 중시한다. 두 아티스트는 자연 그대로의 요소들을 일상적인 사물로 재탄생시켜 자연계의 미묘함을 반영한다. 특히 <클레이 앤드 글래스> 프로젝트는 현지에서 조달한 점토와 모래를 도자기와 유리 제작에 사용함으로써 문화유산을 존중하고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장려한다. 아틀리에 엔엘은 지구의 자원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신중한 재료의 구매와 생산을 옹호하여 글로벌 환경 의식을 고취한다. 열정적인 연구를 통해 인류와 자연을 구체적으로 연결하고 소중한 지구에 대한 새로운 관리자 의식을 촉구한다.더보기
수천 가닥의 흰 실이 이천교 옆, 이제는 버려진 예배당 옛 일광교회 건물을 가로지른다. 감리교 기도처로 시작하여 한 때는 선교 학교로, 다시금 기도처로 사용되었던 이 건물은 수많은 삶을 품어 왔고 다양한 공동체, 사람, 그리고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빈 건물은 장소 경험형 설치 작품 〈바다에서의 달콤한 허우적거림〉을 통해 또 다른 시간으로 탈바꿈한다. 교회 광원에서 뿜어져 나오는 실들은 빈 공간을 따라 건물 반대쪽 벽에 있는 두 개의 창문에서 야외 옥상까지 뻗어 나간다. 작가는 이러한 복합적이면서도 섬세하고 만질 수 있는 빛 구조물로 다양한 층위의 내러티브를 쌓아 공간을 해석하였다. 하루 해오름이 일어 어스름이 질 무렵까지 그 찰나를 반영하며, 건물에 내재된 구조물은 하루를 관통하는 자연광과 함께 변화한다. 시각에 대한 은유로서 빛의 개념을 다루는 이 작품은 여정과 여행, 성찰, 꿈, 경이로움을 불러일으킨다. 무한나드 쇼노 작품의 특징이기도 한 수평으로 뻗은 하얀 실들은 한 지점에서 뻗어 나가 창문을 끌어안기까지 손으로 그려낸 선들처럼 증식하는 듯하다. 관람객은 바다를 향해 의도적으로 뻗어가는 이 작품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감각의 얇은 가닥인 이 실들은 작품의 영역을 물리적인 차원에서 경험적 차원으로 확장하며 우리의 상상을 자극한다.더보기
1970년대 새마을 운동으로 전국 농가를 허물기 전까지 기와집과 초가집의 벽체와 천장 모두 볏짚과 갈대를 섞은 흙으로 지어졌고, 사람들은 오늘날 창문과 같은 얇은 창호지 사이로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어느 나라나, 도시, 마을에서든 전통 가옥은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짓는다. 그렇기에 한국 가옥의 재료는 흙, 나무, 돌, 볏짚이었다. 작가는 전통 한옥과 초가집에 관심을 가지고 빠르게 사라지는 흙집과 관련된 기록과 자료를 연구해 왔으며, 해초를 건축 자재로 만든 집이 부산에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50년대 한국 전쟁 당시 부산으로 피난 간 수많은 난민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빠르게 임시 거처를 지어야 했다. 그랬기에 전쟁 중에 전통 흙집에 쓰였던 볏짚 대신, 바닷가에서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해초를 흙에 섞어 집을 지었다. 작가는 피난민들의 건축 기술과 특히 해초를 건축 자재로 사용하였던 구축 방법을 이해하고, 작업에 적용하기 위해 부산 영도를 포함한 바닷가 피난처 마을에서 발견된 해초 흙집을 연구하였다. 작가는 이제는 자취를 감췄지만 기발하고 창의적이었던, 소박한 혁신이었던 흙과 해초로 집 짓는 방법을 이번 바다미술제 출품작 〈바다로부터〉로 되살려낸다.더보기
바다에도 땅에도 경계선은 없다. 울타리는 인간이 만든 구조물이며 경계선 또한 인간이 그려낸 것이다. 울타리에 둘러싸인 공간은 들어갈 수 없다는 명백한 신호를 보내지만, 우리의 시선은 울타리나 경계선으로 둘러싸인 공간도 꿰뚫고 들어간다. 경계선은 외부에서 관통될 수 있다. 야스아키 오니시의 설치 작품에서 울타리는 이쪽 편과 반대편을 가르는 그 경계의 표식이 된다.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울타리는 경계선을 겹겹이 쌓아 투과할 수 있는 양감을 만들어 낸다. 작가는 울타리처럼 흔히 볼 수 있는 기성품을 사용해 빈 공간을 조각하고 우리의 상상으로 그 공간은 채워진다. 우리와 바다 혹은 자연 사이에 자리한 공간은 분리선이나 경계선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이 작품의 빈 공간은 수직선과 수평선, 채워짐과 비워짐의 구조로 형상화되어 우리가 다채롭게 해석하고 새로운 지평을 그려보며 그 형상을 채우게 한다. 출품작 〈경계의 레이어〉는 충만과 공허, 존재와 부재의 개념을 고찰한다. 또한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와 경계를 들여다본다. 작가는 익숙한 울타리를 뒤집어 더 이상 고정된 구조물이 아닌, 꿰뚫어지고 다양하게 해석되게끔 한다. 그렇게 우리와 바다를 가르는 경계라고 여겨지는 선을 우리의 상상으로 지워보자 제안한다. 작가는 인간과 바다, 인간과 자연을 가르는 분할선뿐 아니라 육상과 바다에서의 인간 활동과의 구분점 또한 재고하게 한다. 그의 작업은 바다가 현재 겪고 있는 급변을 시사하기 위해 바다, 육지, 자연과 인간이 연결된 개체로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더보기
심해는 무엇을 느낄까? 우리가 해저를 착취하고 광물을 캐느라 바쁠 때 해양 생물체에 가해지는 생태계적 결과와 영향은 무엇일까? 우린 심해 채굴이 필요할까? 해저를 탐사하고 착취하려는 시도는 무한한 듯 보였던 해저 지평이 이제는 영토라는 공간으로 구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출품작 〈공동의 유산〉은 산업화와 영토 분쟁의 반향이 우리가 자연과 관계 맺는 방식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폭로하며 심해 희토류 채굴을 향한 움직임에 즉각 대응한다. 탐사와 착취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우리가 가지는 환상을 조명하며 이 작품은 낭만적으로 묘사된 해저 탐사의 단계들이 실은 지정학적 영토 점령과 광물 자원 채굴이 얽혀 정복의 경계선에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1967년, UN 주재 몰타 대사 아르비드 파르도는 10년 후 국제 콘퍼런스와 논의를 거쳐 해양법협약을 내놓은 인류 공동 유산 원칙의 시초가 된 연설을 발표했다. 그는 더 이상의 해양 오염을 막아 해양 자원을 보호하고 평화를 유지할 국제 규정을 발의하며 해저가 인류 공동 유산의 한 부분을 형성함을 제의하였다. 영상 도입부에서 공상과학 소설가 귀네스 존스가 낭독하는 이 연설문은 우리를 도발케 한다. 디스토피아적 공상과학 주제는 광활하고 장엄한 지형의 통치와 영토 분계를 두고 분쟁과 모순, 갈등을 드러내는 기자 회견과 인터뷰 연설을 포함해 심해 탐사 기록 영상과 조화를 이루는 구성으로 우리의 현 상태와, 어떻게 미지의 경계로 나아가야 할지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공동의 유산〉은 저우드 자선 재단, 셰필드 대학교, 오픈 유니버시티, 그랜섬 서스테이너블 퓨처 앤드 애쉬든 트러스트가 자금을 지원하는 ‘문화와 기후 변화: 미래 시나리오’ 레지던시 기간 동안 구상되었으며 저우드 자선 재단의 자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다. 크레딧 제작: 엘레나 힐 편집: 서지오 베가 보레고 사운드 & 음악: 니콜라스 베커, 루씨 레일톤, 스테판 스미스더보기
로베르티나 세브야닉의 몰입형 사운드 설치 작품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생명체의 관계뿐 아니라 상호 연결된 세계, 생태계 간의 긴장감을 탐색하는 공간을 창조한다. 출품작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수집한 해양생물의 소리와 인간의 노래를 바닷속 소리에 덧붙여 함께 들려준다. 작품은 상호 의존적 관계로, 물로 연결된 지구를 상상하며 인간 세상을 넘어 해양 생태계, 지리, 문화를 파고든다. 학제적이고 시적인 이 작품은 파도 밑 해양 생물을 향한 공감(성)을 불러일으켜 낸다. 〈그들의 노래〉라는 시를 통해 이들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우리의 행동이 바다와 해양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숙고한다. 작가의 작업은 동물과 인간, 이종 간 소통을 예술과 기술의 교류와 학제적 조사를 통해 탐구하며 전 세계 해양과 바다에서 일어나는 심해 소음 공해와 생태계적 결과를 시사한다. 인간과 해양 이야기, 과학과 신화가 함께 물결치는 〈해일의 속삭임: 부산의 해양 이야기〉는 모든 생물과 생명체가 크든 작든,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함께 경험을 공유하고 깊이 연결된다는 세계관을 제시하며 해양 생명체의 회복력을 기리며 이야기한다. Credits Artist: Robertina Šebjanič Text, music, textile, audio: Robertina Šebjanič (SIovenia) Narrators, voice: Polona Torkar (Slovenia) and Pilljae Kim (Slovenia / South Korea) Recording of voice and mastering: Rok Kovatch (Slovenia) Field recordings: KIOST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rchitecture support of the installation: studioentropia더보기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