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 Art Fastival 2023 Artwork

Moheet Derya Haeyang Ocean Ocean Ocean
2023, Video installation
Description

Jane Jin Kaisen, Of The Sea, 2013,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2min. 15sec.
In Of the Sea, the artist is seen walking along the black lava rock shore of Jeju Island where her mother and grandmother used to earn a living as haenyeo, women sea diver. She is carrying discarded items used for diving as well as the book Annals of the Jeju Haenyeo’s Anti-Japanese Resistance written by her grandfather while he served as Head of the Commemoration Committee for the Jeju Haenyeo’s Anti-Colonial Resistance Movement. The book was published in 1995 on occasion of the First Memorial Ceremony for the Jeju Haenyeo Anti-colonial Resistance, a movement that erupted in 1931-1932 when the haenyeo started marching in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forces along the same coast where the artist is seen walking almost eight decades later.
The video is juxtaposed with the song Song of the Haenyeo, the notes of which are printed on the first pages of the artist’s grandfather’s book. The song is composed around a Japanese melody, but the lyrics are altered and are written by Gwan-soon Gang, a social activist and leader of the resistance movement, while he was imprisoned. The song, although it was banned, was sung by haenyeo and attests to the gendered dimensions of Jeju haenyeo culture, the harsh and dangerous vocation of diving, and their reliance on the sea for survival.
While the careful treatment of the book and the diving tools allude to an attempt at preserving history and bridging the gaps in time and the transmission of intergenerational knowledge, the video ends before the artist reaches the sea. Walking with unsteady awkward movements and dressed in clothing and boots unfit for the environment, there is a sense of discontinuity and rupture, which stands in contrast to the lyrics of the song. In recent decades, haenyeo diving culture has drastically diminished due to modernization, societal changes, industrial farming and destruction of the oceanic environment. With it, the knowledge of the sea and diving, along with the matriarchal cosmology of Jeju and shamanic spiritual culture connected to the sea, is no longer being seamlessly passed on from mother to daughter.

Gilles Aubry, Atlantic Ragagar, 2022,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31min. 43sec.
Shot in collaboration with biologist Younes Boundir, Atlantic Ragagar is an experimental film on seaweed and pollution on the Moroccan Atlantic coast. With its clear water, the Sidi Bouzid beach hosts dozens of seaweed species. Further south in Safi, marine biodiversity suffers from pollution caused by industrial phosphate plants. The film is an attempt to listen to coastal life, inviting the spectator into a proces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If pollution often remains hidden in the landscape, the effects of toxicity are rendered through the voice and bodily presence of the main character performed by Imane Zoubai. As she hums, sings, breathes, and silently interacts with algae, a new figure progressively emerges, “maouj”, an aquatic body open to transcorporeal and interspecies speculations.

Calypso36°21 & Derya Akkaynak, Untitled, 2021, Single channel video, text, sound, 9min. 4sec. Supported by Sea Art Festival 2023.
The sound piece Untitled (titled by Calypso36°21) was created by oceanographer Derya Akkaynak to explain to a large audience her discovery ‘Sea-Thru’. She records herself on her phone. Instead of narrating and explaining Sea-Thru in a scientific way, ‘objective’ and cold, Derya talks about the loss of her mother, her relationship to the sea and how those elements helped her make a huge breakthrough for the ocean. Derya gifted this piece to Justine Daquin in 2021 after a discussion they had together that was part of a larger project of interviews with female ocean scientists. They all approach their discipline with intuition and emotion and thanks to this way of practicing science, made major discoveries and helped heal and care for the ocean.


Jane Jin Kaisen(born 1980 in Jeju Island, lives in Copenhagen) is a visual artist, filmmaker, and Professor of the School of Media Arts,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Spanning the mediums of video installation, narrative experimental film, photographic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text, Kaisen’s artistic practice is informed by extens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ngagement with diverse communities. Through multi-year projects and collaborations, she has engaged topics such as transnational adoption, the Korean War and division, the Jeju April Third Massacre, and Cold War legacies. Another recurring focus revolves around nature and island spaces, cosmologies, feminist re-framings of myths, and engagement with ritual and spiritual practices. Her works negotiate and mediate the means of representation, resistance, and recognition, thus contouring alternative genealogies and sites of collective emergence.
Kaisen is a recipient of the New Carlsberg Foundation Artist Grant (2023) and a 3-year work grant from the Danish Arts Foundation (2022). She represented Korea at the 58th Venice Biennale with the film installation Community of Parting (2019) alongside artists Hwayeon Nam and siren eun young jeong in the exhibition History Has Failed Us, but No Matter curated by Hyunjin Kim. She was awarded “Exhibition of the Year 2020” by AICA -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rt Critics, Denmark for the exhibition Community of Parting at Kunsthal Charlottenborg. Kaisen has participated in the biennials of Liverpool, Gwangju, Anren, Jeju, among others, and she had numerous solo exhibitions including recently Jane Jin Kaisen: Braiding and Mending at The Image Centre (2023), Of Specters or Returns at Le Bicolore (2023), Currents at Fotografisk Center (2023), Parallax Conjunctures at Museum of Contemporary Art Detroit (2021), and screenings Dislocation Blues: Jane Jin Kaisen, Tate Modern (2023), Ceremony (Burial of an Undead World), Haus der Kulturen der Welt (2022) to name a few.
She holds a PhD in artistic research from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Department of Art and Cultural Studies, an MFA in Interdisciplinary Studio Art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an MA in Art Theory and Media Art from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and she participated in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Independent Study Program.

Gilles Aubry is a Swiss artist, musician and researcher based in Berlin. His work explores sound and listening as embodied, technological, and ecological practice. His installations, films, performances and radio plays are presented internationally in art institutions, film festivals and music venues. Recent projects include The Gramophone Effect, a sound piece with Robert Millis and the Indian collective Traveling Archive, commissioned by Documenta14 (2017, Kassel and Athens); Black Anthenna, a performance with Nathalie Mba Bikoro for the Tuned Cities Festival (2018, Ancient Messene); Salam Godzilla, a film essay shot in Agadir on the 1960 earthquake (2019, FID Marseille), and The Whistle, a sound installation by the VACUT Group (Voices Against Corruption and Ugly Trading), commissioned by OTO Sound Museum in Zurich (2022).

Derya Akkaynak is a Turkish engineer and oceanographer whose research focuses on imaging and vision underwater. She has professional, technical, and scientific diving certifications and conducted fieldwork from the Bering Sea to Antarctica. Akkaynak was a finalist for the 2019 Blavatnik Awards for Young Scientists for resolving a fundamental problem in underwater computer vision—the reconstruction of lost colors and contrast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ea-thru algorithm.

Audio Guide
Calypso36°21 More
LIST

물고기 입맞춤 해양 해양 해양

하이퍼콤프ㅣ10분 13초ㅣ드라마 2023, 영상 설치
작품 설명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인 진 카이센, <바다의 이야기>, 2013,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분 15초.
작품 <바다의 이야기>에서 작가 제인 진 카이센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해녀로 생계를 이어가던 제주도의 현무암 해안을 따라 걷고 있다. 그는 물질할 때 사용했던 버려진 물건들과 할아버지가 제주해녀항일독립운동기념사업회장을 역임하며 쓴 <제주해녀항일투쟁실록>을 들고 있다. 책은 1995년 제1회 제주해녀항일투쟁기념식을 계기로 출간되었는데, 이 항일 투쟁은1931~1932년 제주 해녀들이 일본 식민 세력에 대항하는 행진을 시작하며 거세게 일어난 운동으로, 80여 년이 지난 지금 작가가 걷고 있는 바로 그 해안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영상에서는 작가의 할아버지가 집필한 책의 첫 페이지에 수록된 악보 <해녀의 노래>가 불려진다. 그 노래는 항일운동의 지도자였던 강관순이 옥살이 중 개사한 가사를 일본 곡조에 얹어 만든 노래로 당시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녀들에게 불려졌던 이 노래는 제주 해녀 문화의 성별 범위, 가혹하고 위험한 직업적 소명, 생존을 위해 바다에 의존하는 해녀의 삶을 증명한다.
책과 잠수 도구를 세심하게 다루는 일은 역사를 보존하고 시간의 격차를 해소하며 세대를 넘어 지식을 전달하려는 시도를 암시하지만, 영상은 작가가 바다에 도달하기 전에 끝난다. 불안정하고 어색한 동작으로 걷고 환경에 맞지 않는 옷과 장화를 신은 모습에서 노래 가사와는 대조적으로 불연속성과 균열이 느껴진다. 최근 수십 년 동안 현대화, 사회 변화, 산업적 양식, 해양 환경 파괴 등으로 해녀의 물질 문화는 급격히 감소했다. 이에 따라 바다와 물질에 대한 지식, 제주의 모계 중심적 우주관, 바다와 연결된 무속적 정신문화가 더 이상 어머니로부터 딸에게 원활하게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질 오브리, <대서양의 해조들>,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1분 43초.
생물학자 유네스 분디르와 함께 촬영한 작가 질 오브리 작품 <대서양의 해조들(Atlantic Ragagar)>는 모로코 대서양 연안의 해조류와 오염에 관한 실험 영화이다. 물이 맑은 시디 부지드 해변에는 수십 종의 해초가 서식하고 있다. 이보다 더 남쪽의 사피에서는 인산염 공장으로 인한 오염으로 해양 생물 다양성이 재해를 입고 있다. 이 영화는 해안 생물에 귀를 기울이고 관객을 생태적 변화의 과정으로 초대하는 시도이다. 오염은 풍경 속에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더라도, 이마네 주바이가 연기하는 주인공의 목소리와 몸짓을 통해 독성의 영향을 표현한다. 그녀가 콧노래를 부르고, 노래하고, 숨을 쉬고, 조용히 조류와 교감하는 동안 새로운 대상 ‘마오우즈’가 순차적으로 등장하는데, 생물의 신체적인 경계를 초월하고 종을 넘나드는 열린 사고가 가능한 수역을 가리킨다.

칼립소 36°21 & 데리야 아카이낙, <무제>, 2021, 단채널 비디오, 텍스트, 사운드, 9분 4초. 2023바다미술제 지원작.
사운드 작품 <무제>(칼립소 36°21 이 지은 제목)는 해양학자 데리야 아카이낙이 자신이 발견한 과학적 알고리즘 '시스루(Sea-Thru)'를 많은 관객에게 설명하기 위해 만든 작품이다. 데리야는 '객관적'이고 있는 그대로의 과학적 방식으로 '시스루’를 묘사하고 설명하는 대신, 어머니의 죽음, 자신과 바다의 관계,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바다를 위한 큰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데리야는 여성 해양 과학자 인터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된 토론 이후, 2021년 이 작품을 쥐스틴 다캉에게 선물했다. 이들은 모두 직관과 감성으로 자신의 분야에 접근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과학을 실천함으로써 중요한 발견을 하고 바다를 치유하고 돌보는 데 도움을 주었다.


제인 진 카이센은 1980년에 제주도에서 태어나 현재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거주하는 시각예술가이자 필름메이커이며,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의 미디어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카이센의 작업은 비디오 설치, 내러티브 실험 영화, 사진 설치, 퍼포먼스, 텍스트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광범위한 학제간 연구와 다양한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 다년간 진행된 프로젝트와 협업을 통해 초국적 입양, 한국전쟁과 분단, 제주 4.3 사건, 냉전 유산 등의 주제를 다뤄왔다. 또한 자연과 섬이라는 공간, 우주론, 신화의 페미니즘적 재구성, 의식적이고 영적인 관행에 참여하기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표현과 저항, 인식의 수단을 협상하고 중재하여 대안적인 계보와 공동체적 출현의 장소들을 그려낸다.
카이센은 뉴 칼스버그 재단 아티스트 그랜트(2023년)와 덴마크 예술재단의 3년 작업 지원금(2022년)을 받았다.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김현진이 기획한 <역사는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전시에 남화연, 정은영 작가와 함께 참여하여 영상 설치 작품 <이별의 공동체>(2019)로 한국을 대표해 전시를 선보였다. 쿤스트할 샤를로텐부르크에서 가진 <이별의 공동체> 전시가 덴마크 국제미술평론가협회(AICA)의 ‘2020 올해의 전시’로 선정되었다. 리버풀, 광주, 안렌, 제주 등지에서 열린 비엔날레에 참여했으며, 최근 이미지 센터에서 (2023), 르 비콜로레에서 (2023), 포토그라피스크 센터에서 (2023), 디트로이트 현대미술관에서 (2021) 등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하고 테이트 모던에서 (2023), 하우스 데어 쿨투렌 데어 벨트 (HKW)에서 (2022)를 상영하는 등 작품 상영회를 열었다.
코펜하겐 대학교 예술문화학과에서 예술 연구로 박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학제간 스튜디오 아트로 미술석사 학위를, 덴마크 왕립미술아카데미에서 미술 이론 및 미디어 아트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휘트니 미술관 독립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질 오브리는 베를린에 거주하는 스위스 예술가이자 음악가, 연구자이다. 그의 작품은 소리와 듣기를 구체화된 기술적, 생태학적 실천으로 탐구한다. 그의 설치, 영화, 퍼포먼스, 라디오 연극은 예술 기관, 영화제, 음악 공연장에서 국제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최근 프로젝트로는 도큐멘타14의 의뢰로 로버트 밀리스와 인도 단체 트래블링 아카이브가 함께 작업한 사운드 작품 <축음기 효과>(2017, 카셀과 아테네), 나탈리 음바 비코로와 함께 튠드 시티스 페스티벌 에서 공연한 <검은 안테나>(2018, 고대 메세네), 1960년의 지진에 관하여 아가디르에서 촬영한 필름 에세이 <살람 고질라>(2019, FID 마르세유), 취리히의 OTO 사운드 뮤지엄이 의뢰한 VACUT (Voices Against Corruption and Ugly Trading) 그룹의 사운드 설치 작품 <더 휘슬>(2022) 등이 있다.

데리야 아카이낙은 터키의 엔지니어이자 해양학자로 수중 영상과 비전에 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전문적, 기술적, 과학적인 다이빙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링해에서 남극까지 현장 조사를 수행했다. 아카이낙은 수중 컴퓨터 비전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되는 손실된 색상과 대비의 재구성을 해결하여 시스루 알고리즘을 개발한 공로로 2019 블라바트닉 젊은 과학자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오디오 가이드
포레스트 커리큘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