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나는 일광 해변을 바라보며 깊이 숨을 들이쉽니다. 이 순간, 우리는 긴장을 잠시 내려놓고 시간의 흐름을 망각하는 공간과 조우합니다.”
이 작품은 부산 및 일광 지역에서 발견한 오브제들이 그네와 함께 어우러지며 관람객에게 해방감을 선사한다. 평소 바다에 떠다니는 물건들을 수집해 온 작가는 이 물건들을 쌓아 올려 마치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처럼 보이는 작품을 만들었다. 작가는 이처럼 부표의 끝없는 움직임을 그네 운동으로 그려낸다. 그리고 그네를 타는 동안 들숨과 날숨에 따라 함께 움직여 보라며 관람객들을 초대한다.
작가는 특히 상상을 자극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고 순수하게 놀이의 기쁨을 만끽하는 어린 시절을 지나 어른이 된 관람객들을 위한 그네를 만들었다. 놀이는 우리를 타인과 교감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그네는 땅에서 잠시 발을 떼고 부유하는 기분을 느끼며 바다를 따라 움직이게 해준다.
대형 구조물의 극적인 공간감은 우리를 현실에서 해방시켜 장소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상상하게 한다. 이처럼 〈일광 스윙〉은 바다와 교감하고 바다의 이야기를 다시 상상해 보고자 한다.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마침내 나는 일광 해변을 바라보며 깊이 숨을 들이쉽니다. 이 순간, 우리는 긴장을 잠시 내려놓고 시간의 흐름을 망각하는 공간과 조우합니다.”
이 작품은 부산 및 일광 지역에서 발견한 오브제들이 그네와 함께 어우러지며 관람객에게 해방감을 선사한다. 평소 바다에 떠다니는 물건들을 수집해 온 작가는 이 물건들을 쌓아 올려 마치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처럼 보이는 작품을 만들었다. 작가는 이처럼 부표의 끝없는 움직임을 그네 운동으로 그려낸다. 그리고 그네를 타는 동안 들숨과 날숨에 따라 함께 움직여 보라며 관람객들을 초대한다.
작가는 특히 상상을 자극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고 순수하게 놀이의 기쁨을 만끽하는 어린 시절을 지나 어른이 된 관람객들을 위한 그네를 만들었다. 놀이는 우리를 타인과 교감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그네는 땅에서 잠시 발을 떼고 부유하는 기분을 느끼며 바다를 따라 움직이게 해준다.
대형 구조물의 극적인 공간감은 우리를 현실에서 해방시켜 장소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상상하게 한다. 이처럼 〈일광 스윙〉은 바다와 교감하고 바다의 이야기를 다시 상상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