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 Art Fastival 2023 Artwork

Muddy-Water
Trans-boundary Algorithm, 2023, UV ink drawing, vinyl lettering, UV lantern, Hanji, bamboo, 200×150cm.
Muddy-Water, 2023, View master, reel, pdf file in iPad, Dimension variable.
200 Trans-boundaries, 2023, 200 kite editions(inkjet print on Hanji, bamboo kite frame, paper reel, string), wood structure, wood desk, wood stool, desk ramp, Dimension variable.
Muddy-Water, 2023, Two single-channel videos, color, stereo sound, 10 min.
All Commissioned by Sea Art Festival 2023.
Description

Lab C explore locations in different regions, and in nature to discover nuanced stories. They led a workshop with children for Sea Art Festival 2023 to explore forgotten spaces around Ilgwang, especially the Ilgwang Stream which is a brackish water zone. The results and videos of the workshop are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allowing us to contemplate the importance of our relationship with nature.

Muddy water has a blurry meaning, as it can be a mixture of dirt and water. “Blurry” is an interesting term for the artists here, as it indicates a changing state, for example a variable status between “clean (or flowing, running) water” and “dirty (or stagnant, messy) mud.”

In Korean, as in other languages, the phrase “muddy water” is used frequently and commonly in a negative way. And similarly, the expression “mud fight”, which figuratively indicates a dirty fight. This ambival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or “water” and “dirt”, while confusing, it can be fascinating. Like the randomness of chaos that can have varied potential.

Ilgwang Stream, which meets Icheon Port on the left side of Ilgwang Beach, flows into the sea by combining 10 tributaries, including Dalum Mountain Valley, Hambaek Mountain Valley, Nine Mountain, and Ilgwang Mountain Valley, which are the origins. And when the tide progresses, the seawater flows back into the Ilgwang Stream. Ilgwang Stream, where seawater and freshwater meet, is a brackish water area and a wetland.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Busan Research Institute in 2001, a total of 395 species were observed in the area, and in 2005, salmon, which was released into the wild from Gijang, returned in the stream. In 2021, with the creation of Ilgwang Icheon Ecological Park and the surrounding trail project underway, rapid change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Ilgwang Stream.

Lab C’s research shows evidence of fish diversity in the stream. In addition to the four-white fish of Ilgwang Stream, sweetfish, mullet, perch, blowfish, salmon, and eel, which are conciliatory fish, and even the brackish brown goth, which is second class endangered shellfish.

If one walks up along Ilgwang Stream, they will see the river maintenance work still in full swing.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brackish water and wetlands continues. When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began to intervene, the flow of water that naturally flowed into the sea is changing. And obviously, changes are also occurring in various life forms that rely on wetlands and brackish water areas. Could this human intervention here be considered a recovery or another destruction? It is at this point that the artists are interested in questions about the presence of Ilgwang Stream through the concept of 'muddy water.'

Audio Guide
Lab C More
LIST

물고기 입맞춤 흙-탕-물

하이퍼콤프ㅣ10분 13초ㅣ드라마 〈초경계자 알고리즘〉, 2023, UV 잉크 드로잉, 시트지, UV랜턴, 한지, 대나무, 200×300cm.
〈흙탕물을 일으키자〉, 2023, 뷰 마스터, 릴, 아이패드, 시트지, 가변크기.
〈200명의 초경계자들〉, 2023, 200개의 미니어쳐 연 에디션(한지에 잉크젯 프린트, 대나무 연살, 종이 얼레, 연실), 나무 구조물, 책상, 나무 스툴, 스탠드, 가변크기.
〈흙탕물을 일으키자〉, 2023, 2채널 비디오,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10분.
2023바다미술제 커미션 작품.
작품 설명

포레스트 커리큘럼은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주로 연구합니다. 작품 유랑하는 베스티아리는 이 연구의 일환으로, 비인간적 존재들이 근대 국민국가에 내재된 계급적이고 세습적인 폭력과 그에 따른 잔재들에 어떻게 대항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좌중을 압도하는 듯한 거대한 깃발들은 위태롭고도 불안하게 스스로를 지탱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깃발에는 벤조인이나 아편부터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들까지 비인간 존재들을 상징하는 대상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각 깃발들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대표자로서 모두가 한데 결합되어 아상블라주 그 자체를 표상합니다. 또한 깃발들과 함께 설치된 사운드 작품은 방콕과 파주에서 채집된 고음역대의 풀벌레 소리, 인도네시아의 경주용 비둘기들의 소리, 지방정부 선거를 앞두고 재정 부패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불필요한 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 그리고 위의 소리들을 찾아가는데 사용된 질문들과 조건들을 읽어 내려가는 내레이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실험실 C는 다양한 지역과 자연의 장소들을 살펴보며 미묘한 뉘앙스가 담긴 이야기들을 발견한다. 특히 이번 바다미술제 사전워크숍을 통해 어린이들과 흙탕물이 이는 일광천 주변의 잊힌 장소들을 함께 탐색했다. 워크숍 결과와 영상은 본 전시에 출품되어 우리가 자연과 얼마나 중요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고찰하게 한다.

흙탕물은 흙과 물이 섞인 모호한 의미의 단어다. 작가들은 흐르는 깨끗한 물과 고여 있고 지저분한 진흙 간의 가변적 상태처럼,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호한’이라는 단어에 주목한다.

한글과 다른 언어도 그렇듯, 흙탕물은 자주 그리고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표현에 사용된다. 비슷하게 흙탕물 싸움은 비유적으로 졸렬한 싸움을 뜻한다. ‘긍정’과 ‘부정’ 혹은 ‘물’과 ‘흙’ 간의 모호함은 혼란스럽지만 동시에 매혹적이다. 혼돈의 임의성이 다양한 잠재성을 가진 듯 말이다.

일광 해수욕장 왼편으로 이천항과 만나는 일광천은 달음산 골짜기, 함백산 골짜기, 아홉산과 일광산 골짜기에서 뻗어 나온 열 개의 지류가 모여 바다로 흘러가는 곳이다. 밀물 때는 바닷물이 흙탕물과 갯벌이 있는 곳,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일광천으로 흘러 들어온다. 2001년 부산의 한 설문 기관 조사에 따르면, 총 395여 개의 개체가 일광천 부근에서 발견되었고, 기장에서 방생한 연어가 2005년에 일광천으로 돌아왔다. 이곳은 수많은 종의 서식지이지만 2021년부터 진행된 일광이천생태공원 조성과 주변 산책로 사업으로 일광천의 생태 환경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실 C의 작업은 일광천에 다양한 어종, 일광천의 사백어를 비롯해 회유성 어류인 은어, 숭어, 농어, 복섬, 연어, 뱀장어와 그리고 멸종위기 조개류 2급에 해당하는 기수갈고둥까지 살고 있음을 증명한다.

일광천을 따라 걸어보면 강 유지 보수 작업이 여전히 진행되면서 바닷물과 강물이 맞닿는 부근과 갯벌 공간이 지속해서 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관리와 통제 체계가 개입되기 시작하면서 바다로 자연스레 흘러들던 물의 흐름이 달라지고 있다. 이를 통해 갯벌과 흙탕물 부근에 의존해 살아가는 다양한 생명들에게도 분명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 같은 인간의 개입은 복원일까, 아니면 또 다른 파괴일까? 실험실 C는 이 지점에서 ‘흙탕물’이라는 개념을 통해 일광천의 현재에 관해 질문한다.

오디오 가이드
포레스트 커리큘럼 더보기